기사 메일전송
(1보)고양시, ‘녹색건축’으로 기후위기 대응 앞장선다 - 녹색건축 설계기준 마련해 적용 의무화… 녹색건축 기반 탄탄하게 - ‘고양형 녹색건축’… 노후주택·공공건축물 녹색건축물로 재탄생
기사수정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는 물론 각 국에서는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5% 이상이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만큼 녹색건축분야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 가운데 고양시(시장 이재준)는 지난해 녹색건축 조성 지원조례를 전면 개정, 녹색건축 이행을 의무화한데 이어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각종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나서 주목받고 있다.

 

녹색건축 설계기준 마련해 적용 의무화녹색건축 기반 탄탄하게

 

고양시는 지난해 3녹색건축 조성 지원조례를 개정했다. 그간 유명무실했던 조례를 전면 개정, ‘고양형 녹색건축 세부설계기준을 기초지자체 최초로 마련해 신축 건축물의 에너지 기준을 강화했다.

 

특히 기존 경기도 녹색건축 설계기준이 자율적용이었던 데 비해 고양형 녹색건축 세부설계기준은 의무적용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난해 5월부터 설계기준 적용률을 35%에서 100%로 확대,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조기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2019녹색건축 공동선언을 통해 한국토지주택공사·경기주택도시공사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 이를 시작으로 녹색건축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지난해 5월 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고양지역건축사회와 고양시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 고양시 내 녹색건축 조성 기반을 구축하고 기술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어 7월에는 고양시 녹색건축물 조성위원회를 구성, 고양시 실정에 맞는 녹색건축 전략과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지난달 9일에는 지속가능한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녹색건축 정책 방향을 주제로고양 녹색건축 정책포럼을 개최,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행 방안과 그린뉴딜 정책 등 고양시 녹색건축 활성화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올해는 녹색건축물 조성을 위한 5개년 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기초연구를 추진, 6개 전략·16개 과제·68개 세부과제를 도출했다. 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녹색건축 조성의 목표 및 방향을 설정하고 세부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koreafrontier.com/news/view.php?idx=2927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