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포시, 미래 도시형 모델로 인구 59만 자족도시 김포 만든다! - 2020 도시비전 개편, 김포시 도시정책 5개 방향 제시 / 주변 환경과 연계한 수…
기사수정

 






세계화로 모든 도시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경기 김포시도 미래를 이끌어갈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지속가능한 녹색성장 시대에 부응하는 도시공간구조의 창출 기반을 마련한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은 현 세대의 개발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미래세대의 개발능력을 저해하지 않는 환경친화적 개발을 의미한다. 김포시는 인구 59만의 자족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전원생태도시’, ‘관광휴양도시’, ‘첨단산업도시’, ‘통일 화합의 도시의 건설을 목표로 하는 2020도시기본계획을 현실이 반영된 미래도시형 모델로 개편한다.


 


김포시 2020도시비전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 평균수명 연장으로 2018년은 고령사회, 2026년엔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다. 아울러 외국인의 지속적인 증가로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 중이다. 김포시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를 예측하는 편익시설 수급 조정과 노인 및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도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국가를 초월한 도시간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에 전통 제조업의 쇠퇴와 지식기반 첨단산업 등 고부가가치의 산업구조로 전환이 부진할 경우 성장 동력의 감소와 무분별한 개발로 도심기능 이탈과 원도심 기능 저하 등 도시경제기반이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첨단산업단지 조성하고 영세노후산업단지와 공장밀집지의 재정비가 요구되는 관계로 원도심의 노후된 주거환경과 기반시설의 개선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의 경관도 중요하다. 단조롭고 획일화된 도시 경관을 지역 특성에 따라 고유의 정체성을 표출하는 경관관리계획수립을 통해 아름다운 도시를 추구해야 한다.



이에 따라 김포시도시정책 방향은 첫째, 김포한강신도시와 경인아라뱃길 및 도시철도 등 굵직한 사업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국책사업과 연계한 역세권 개발과 종합대학유치 등 다양한 시책사업을 병행해 지속가능한 창조도시를 만든다. 둘째, 목표연도 인구에 필요한 광역시설, 특수학교 등 기반시설 확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운동장 건설과 아트홀 및 조류생태공원 등을 조성한다. 셋째, 생활권별로 시네폴리스 등 산업단지행정타운남북교류시설물류유통관광레저 등 다양한 지역개발 방향을 제시해 균형발전을 이끈다. 넷째, 다양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도시철도, 김포한강로, 경인아라뱃길 해강안 일주도로(김포항-시네폴리스-감암포 에코센터-전류포구-후평리 철새서식지-애기봉 안보관광지-용강리 용못-문수산성-덕포진관광지-대명항-경인항)를 연결하는 그린도로(자전거 등) 체계를 만든다. 도시간 주요 녹지축(공원, 수변녹지 등)을 연계한 보행로와 자전거도로를 조성해 쾌적한 생태도시를 조성한다. 다섯째, 민간개발사업의 개발지표 설정으로 개발이익환수를 극대화하고, 보전산지의 무분별한 개발 제한으로 부족한 산림자원을 보전한다. 또 자족기능 증진을 위해 항공산업단지, 한강시네폴리스 및 김포골드밸리 등 첨단산업 구조를 유도하고 소규모 공장은 단계적으로 정비해 나간다.


지구단위계획과 도시개발사업으로 구도심 재정비


도시개발시 주변 지역과 연계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경관이 수려한 환경을 조성하는 계획에 의한 체계적인 개발을 추진한다. 먼저, 도시개발사업으로 풍무5지구(한화 꿈에그린)를 포함한 6개 지구로 2백만 평방미터를 조성한다. 이미 고촌지구(현대 힐스테이)를 포함한 2개 지구 57만 평방미터는 완료했다. 아울러 지구단위계획으로 감정3지구(신안 실크밸리 3)를 포함 7개 지구에 614천 평방미터를 추진 중이다. 현재 풍무4지구(풍무자이) 2개 지구 131천 평방미터는 입주한 상태이다. 또한 주민제안에 의한 신규 도시개발 및 지구단위계획도 통진5지구 등 13개 지구에서 1488천 평방미터의 사업추진이 검토되고 있다. 건설경기 둔화로 민간개발사업이 주춤하고 있으나 김포시는 실수요자의 분양률이 높은 지역에 대한 도시개발의 체계성 확보로 도로, 공원, 학교, 체육관, 도서관 등의 생활기반시설이 갖춰진 체계적 개발을 유도해 도시를 재정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신속한 도시계획 절차이행을 통한 개발 촉진도모


대규모 택지개발의 파급 효과로 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수반되는 도시계획변경 절차의 시의성은 매우 중요하다.


 


김포특수학교건립 추진 활력화


김포한강신도시에 들어서는 특수학교는 도교육청이 학교건립비로 18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나, 적정 부지를 마련치 못해 전전긍긍했다. 그러던 차에 김포시는 신도시내 문화예술부지 일부를 도시계획 변경해 장애인학부모의 숙원인 특수학교 건립을 가능케 했다. 이로써 26학급 161명을 수용할 수 있는 특수학교 건립이 2014년 개교를 목표로 정상 추진 중이다. 테마형 생태체험 공간조성 자연에 순응한 에너지절약형 환경 창의지정사고력 배양을 위한 학습환경 장애시설 제로의 안전한 교육환경을 위해 감각놀이마당, 생태연못, 온실, 덩굴식물원, 숲속교실, 동물사육장, 향기원, 텃밭 등이 갖춰진다. 또 생활실습실, 감각운동실, 물놀이실, 병원용엘리베이터, 구강 치료실, 체육 및 물리치료실, 음아기료실, 공연발표회 등이 가능한 116석 시청각실과 제빵바라스타포장 등 직업군별 훈련시설이 겸비되는 등 기존학교와 차별화된 고품질 특수학교로 건립된다.



그린벨트 일부 해제 및 지구단위 계획수립


고촌개발제한구역내 경계선관통 대지 및 소규모 단절토지 지역 약 27천 평방미터 해제에 따라 용도구역을 변경하는 해제 절차를 적기 추진한 결과 지난 926일 경기도의 승인을 득했다. 또 기 해제된 지역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수립도 병행해 신기본동향산 일원 약 48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koreafrontier.com/news/view.php?idx=34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