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미 외무장관 북한에 대화 촉구...북한의 반응 주시, 대화국면으로 전환될 수도
기사수정

북한이 계속되는 위협 속에 한반도 위기가 고조된 상황에서 한미 양국은 북한에 대화의 손길을 내밀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전날 대화 제의에 이어 한미 외교장관은 12일 서울에서 여린 회담에서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밝혔다.

 미국은 비록 북한의 기존 합의 준수라는  전제 조건을 내걸긴 했지만 6자회담이든 양자회담이든지 간에 형식에 상관없는 실질적인 대화를 하고 싶다는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내비쳐 북한의 반응에 촛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에 따라 탁구공은 다시 북한으로 넘어갔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2일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은 무모한 행동과 위협을 포기하고 대화를 통해 신뢰를 확보하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에 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은 "우리의 희망은 대화하는 것"이라면서 "북한이 비핵화의 방향으로 나간다면 대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 외교장관의 발언은 한미 양국의 대북 정책 기조가 압박에서 대화로 이동하는 최근의 움직임과도 같은 맥락이다.

미국은 무력시위를 자제하고 있고 한국은 대화를 제의하는 이런 움직임은 일종의 출구전략으로 분석된다.

실제 현 시점에 양국이 대화 손짓을 취한 배경에는 북한이 준비중인 중거리 미사일 발사가 감행된다면 대화를 제의할 시점조차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미사일이 발사되면 그다음은 그동안 해왔던 대로 제재 국면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다"면서 "대화 제의를 하려면 현재가 가장 적절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 한미 양국은 대화와 압박의 병행 입장에는 일치하지만 대화 문제에 있어서는 미국이 한국에 비해 더 원칙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미 양국은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도 "정치적 고려없이 할 수 있다"(윤 장관)와 "비핵화를 포용하지 않으면 지원하지 않겠다"(케리 장관)로 입장차를 보였다.

 미국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차원의 한국의 정책 결정은 존중하겠다는 입장은 밝히고 있는 상태이다.


 


이달 말 한미 독수리연습이 끝나는 시점이 되면 남북 및 북미가 냉각기를 가진 뒤 본격적인 대화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예측도 있다.



개성공단 문제를 풀기 위한 남북대화와 대북 인도적 지원 등이 국면 전환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koreafrontier.com/news/view.php?idx=428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